mobile background
mobile background

유래

종묘제례는 종묘에서 행하는 제향 의식을 말하는 것으로 조선시대 나라에서 지내는 여러 제사 중 규모가 크고 중요한 제사였기 때문에 종묘대제라고도 한다.

조선시대의 나라제사는 대사, 중사, 소사로 나뉘는데 종묘제례는 사직과 더불어 대사에 속하고 임금이 친히 받드는 존엄한 길례였다. 유교사회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혼과 백으로 분리되어 영혼은 하늘로 올라가고 육신을 땅으로 돌아간다고 믿얻다. 그래서 시신은 무덤으로 만들어 모셨고, 영혼은 사당에 모시고 제사를 드렸다. 유교경전 중 하나인 “예기”에서는 예를 길례. 흉례. 군례. 빈례. 가례 등 다섯 가지 예법(5례)으로 나누고 그 중 길례인 제사를 으뜸으로 여겼으며 이를 효도실천의 근본으로 삼았다. 유교가 나라를 다스리는 기본 이념이었던 조선시대 또한 조상에 대한 숭배를 인간의 도리이자 나라를 다스리는 가장 중요한 법도로 여겨 제사를 특히 중시하였다.


그래서 예로부터 왕이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 궁실을 영위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종묘와 사직을 세우고 조상의 은덕에 보답하며 천지신명에게 백성들의 생업인 농사가 잘되게 해달라고 제사를 올렸다. 이외에도 국가제사에는 하늘(천신)과 관계된 신에게 올리는 천신제(원구단)와 땅(지신)과 오곡의 신에게 드리는 사직제가 있었다. 조선시대의 제천의식은 태조7년(1398)의 기록 이후 황제국임을 선포한 대한제국시대인 광무1년(1897) 원구단(사적 제157호)에서 거행한 바 있으며, 사직대제(중요무형문화재 제111호)는 사직단에서 매년 거행되고 있다.  



Tel. 02-765-2124 | Fax. 02-742-1676 | rfo2124@naver.com
서울 종로구 돈화문로 89 이화회관 4층

© 2020 국가무형문화재 종묘제례보존회. All Rights Reserved.